청년희망적금 우대금리에 따른 이자 차이
청년희망적금이 매우 핫하죠.
가입대상은 누구이며, 어떻게 가입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서 확인을 먼저 하고 오세요.
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차이
은행마다 우대금리를 조금씩 다르게 해 놓았지요. 적금은 아무래도 은행에 돈을 묶어 놓는 상품이기 때문에 모객을 많이 해야 은행으로써는 2년간 큰 돈을 묶어 둘 수 있기 때문에 우대조건을 내세워 이른바 호객행위를 합니다.
대표적으로 국민은행은 우대금리를 최대 1%까지 지급을 해 주죠. 다른 은행들이 0.7~0.9% 정도를 지급하는 것에 비해서 더 많이 주니까, 우대조건을 맞춰서 가입을 하려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.
하지만, 잘 생각해 봐야 할게, 청년희망적금의 매월 납입 상한액이 50만원이기 때문에, 우대금리로 차이가 나는 것은 최고 6.25만원, 즉 6만 2500원 정도 되는 것이랍니다.
생각보다 많이 차이가 안 나는데요. 얼마나 차이나는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.
우대금리에 따른 이자 차이
첫번째로 50만원씩 넣었을 때의 이자 차이입니다.
우대금리 | 추가 이자소득 |
0.10% | 12,500 |
0.20% | 25,000 |
0.30% | 37,500 |
0.40% | 50,000 |
0.50% | 62,500 |
0.60% | 75,000 |
0.70% | 87,500 |
0.80% | 100,000 |
0.90% | 112,500 |
1.00% | 125,000 |
최대불입한도인 50만원씩 넣으면 우대금리 0.1%의 효과는 만기때 12,500원을 더 받느냐 아니냐의 차이가 생깁니다.
그럼 금액이 30만원, 20만원으로 줄어들면 어떻게 될까요?
복잡할 거 없이, 50만원일 때에 비해서 줄어든 비율만큼 그대로 감액을 하면 됩니다.
10만원씩 24개월을 넣으면, 우대금리 0.1%의 차이는 2,500원의 이자 차이, 20만원이면 5,000원, 30만원이면 7,500원, 40만원이면 10,000원의 차이가 나는 것이에요.
그래서 우대금리 0.1% 적용 못 받은것에 너무 큰 의미를 두시지 마시고, 내 형편에 가능한 최대금액을 저축하는데 신경을 쓰시기 바랍니다!
'지식전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상공인 손실보상 4분기 신청 방법 (0) | 2022.02.27 |
---|---|
청년희망적금 얼마 넣어야 좋아요? (0) | 2022.02.24 |
청년희망적금 2021년 소득만 있는 경우 (0) | 2022.02.23 |
2차 방역지원금 신청 및 지급방법 (0) | 2022.02.22 |
2차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지급 관련 총정리 (0) | 2022.02.22 |
댓글